DB/DBMSDB : 데이터의 집합DBMS : DB를 관리 및 운영하는 역할 특징데이터의 무결성데이터베이스 안의 데이터에는 오류가 있어서는 안 된다.무결성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는 제약 조건이라는 특성을 가진다.데이터의 독립성데이터베이스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데이터 파일의 저장소를 변경하더라도 기존에 작성된 응용 프로그램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보안데이터베이스 안의 데이터에 아무나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데이터를 소유한 사람이나 데이터에 접근이 허가된 사람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데이터 중복의 최소화동일한 데이터가 여러 개 중복되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한다.응용 프로그램 제작 및 수정이 쉬워짐통일된 방식으로 응용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하다.유지보수가 쉽다.데이터의 안전성 향상대부분의 DBMS가 제..
기간2024.05.13 ~ 2024.05.17 한 주를 마치며한 주가 엄청 빨리 지나가는 기분이었다.5.15(수)가 부처님 오신 날로 하루를 쉬었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정말 정신없이 지나간 것 같다.한 주 동안 수업으로 배운 내용도 많고, 이것저것 정말 한게 많아서 더더욱 그렇게 느낀 것 같다.이 와중에 놀라운건, 일주일 반만에 파이썬 수업을 끝냈다는 것과 다음 주차부터 SQL 수업을 들어간다는 것이다.솔직하게 내가 아직 파이썬을 완벽하게 이해했는지 잘 모르겠고, 이것저것 헷갈리는게 아직은 너무 많다.그래서 주말에 불나게 복습을 하려했지만, 이사때문에 손도 대지 못하였다.(물론 이사 끝나고 할 수 있었지만, 그러기엔 너무 지치고 힘든 상태였다 ...)결국 나는 다음 주엔 복습을 많이 하기로 나 자신과..
명령어pip freeze -> requirements.txt일일이 설치하지 않고 패키지들을 기록해놓을 수 있는 명령어.명령어 실행 결과로 requirements.txt 파일이 생성된다.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requirements.txt라는 파일이 주어졌을 때, 그 안에 있는 패키지들을 모두 설치하는 명령어. streamlit hellostreamlit 서버 생성이 잘되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명령어 실행 결과로 서버 하나가 열린다. streamlit run 파일이름.py파일에 작성한 코드대로 서버에서 실행시킨다.각 서버 주소는 개인마다 다르다. streamlit 사용해보기
함수함수를 호출 할 때 괄호 내부에 여러 가지 자료를 넣는데, 이때의 자료를 매개변수라고 부른다.함수를 호출해서 최종적으로 나오는 결과값을 리턴값이라고 부른다.사용 방법 예시 예시 - 매개변수가 있는 함수 가변 매개변수 함수함수를 선언할 때의 매개변수와 함수를 호출할 때의 매개변수의 개수가 같아야되지만,매개변수를 원하는 만큼 받을 수 있는 함수를 가변 매개변수 함수라고 부른다.사용 방법 사용 조건가변 매개변수 뒤에는 일반 매개변수가 올 수 없다.가변 매개변수는 하나만 사용할 수 있다. 예시 리턴함수의 결과를 리턴이라고 한다.리턴을 하게되면 함수를 끝내라는 의미이다.예시return의 다음줄인 print("===B===")는 출력이 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간2024.05.08 ~ 2024.05.10 SK 네트웍스 Family AI 캠프에 신청하기까지첫 회사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퇴사한지 어느덧 4개월 넘게 지났다.스타트업 회사다보니 개발자는 부족했었고, 그로 인해 많게는 프로젝트 두 개를, 적게는 프로젝트 한 개를 나 혼자서 맡게 되었다.내 사수님은 내가 입사하고 약 6개월정도 뒤에 더 큰 회사로 이직하셨고, 사수님이 이직하시고 내가 퇴사하기 전까지 나는 누구의 직접적인 도움없이 개발 중 직면한 문제들을 혼자 해결하게 되었다.이렇게 하다보니 나 스스로도 개발 실력이 엄청나게 향상된 것을 느낄 수 있었지만, 체력이 개발 실력과 반비례로 줄어들고 있음을 느꼈고,어느 순간, 프로젝트 한 개에 대해 프론트 업무만 하는게 아니라 그 프로젝트의 DB 설계, ..
연산자종류연산자뜻=대입==같다!=다르다작다>크다작거나 같다>=크거나 같다 우선순위각 문자들은 값을 가지고 있고, 그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된다.각 값은 아스키코드 값을 참조한다. 단항 연산자와 이항 연산자단항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한 개인 것을 의미한다.예를들어, +10의 +는 단항 연산자이다.이항 연산자 : 피연산자가 두 개인 것을 의미한다.예를들어, 10 - 10의 -는 이항 연산자이다. 논리 연산자연산자의미설명not아니다불을 반대로 전환한다and그리고피연산자 두 개 모두 참일 때 True,그 외에는 False를 출력한다or또는피연산자 두 개중 하나만 참이면 True,두 개 모두 거짓일 때 False를 출력한다 조건문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게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하는 구문이다...